톰캣 Document Root 설정 방법
1. 톰켓의 기본 Document Root
- 톰캣의 기본 Document Root는 webapps/ROOT 이다.
- server.xml의 <Host> 태그는 아래와 같이 설정되어 있고, <Context> 태그가 생략되어 있다.
<Host name="localhost" appBase="webapps" unpackWARs="true" autoDeploy="true" xmlValidation="false" xmlNamespaceAware="false"> .. </Host>
- appBase는 $CATALINA_HOME 디렉토리 밑 상대경로를 기본 인자로 받는다.
- <Context> 태그가 생략되어 있으면 기본적인 루트는 ROOT 디렉토리 밑이 된다.
2. <Context> 태그의 사용
- <Context> 태그를 사용해 appBase 하위 디렉토리를 Document Root로 지정 할 수 있다.
- webapps/web 을 Document Root 로 지정한 예제
<Host name="localhost" appBase="webapps" unpackWARs="true" autoDeploy="true" xmlValidation="false" xmlNamespaceAware="false"> <Context path="" docBase="web" reloadable="true"/> .. </Host>
3. 원하는 디렉토리를 Document Root로 사용
- 위의 appBase를 절대 경로로 지정하고 docBase를 현재 디렉토리로 설정하면 된다.
<Host name="localhost" appBase="/home/user/oramaster/public_html" unpackWARs="true" autoDeploy="true" xmlValidation="false" xmlNamespaceAware="false"> <Context path="" docBase="." reloadable="true"/> .. </Host>
- 위의 appBase를 기본값으로 나두고 docBase를 절대경로로 지정하여도 된다.
<Host name="localhost" appBase="webapps" unpackWARs="true" autoDeploy="true" xmlValidation="false" xmlNamespaceAware="false"> <Context path="" docBase="/home/user/oramaster/public_html" reloadable="true"/> .. </Host>
- <Context> 를 사용하지 않으면 ROOT를 자동으로 Document Root로 사용 한 다는 것을 기억하자.
문서에 대하여
- 작성일자 : 김정식
- 작성자 : 2009년 03월 10일
- 이 문서는 오라클클럽 에서 작성하였습니다.
- 이 문서를 다른 블로그나 홈페이지에 게재할 경우에는 출처를 꼭 밝혀 주시면 고맙겠습니다.
문서정보
- 이 문서는 구루비에서 작성하였습니다.
- 이 문서를 다른 블로그나 홈페이지에 게재하실 경우에는 출처를 꼭 밝혀 주시면 고맙겠습니다.~^^
- 출처 : http://wiki.gurubee.net/pages/viewpage.action?pageId=1508019&
- 구루비 지식창고의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의 저작자표시-비영리-동일조건변경허락(BY-NC-SA) 라이선스에 따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'네트워크 > WA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omcat 6.0 사이트 여러개 운영 (0) | 2015.11.20 |
---|---|
java.net.BindException: Address already in use: JVM_Bind (0) | 2015.11.20 |
[Servlet] 웹 서버의 구동, 종료와 서블릿의 라이프 사이클(Life-Cycle) (0) | 2015.11.20 |
jndi 설정 - tomcat 6 (0) | 2015.11.20 |
MySQL DB 생성/삭제 및 사용자 추가/삭제, 권한 부여 (0) | 2015.11.06 |